Comment
1수와 8수의 자연 친화적 태도, 17~19수의 임에 대한 그리움을 잘 확인했다면 잘했다.
지문과 문제
[01 - 03]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.
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
(가)
산촌(山村)에 눈이 오니 돌길이 뭇쳐셰라
시비(柴扉) 여지 마라 날 즈리 뉘 이스리
밤듕만 일편명월(一片明月)이 긔 벗인가 노라
<1수>
(나)
섯래 기나 르나 기동이 기우나 트나
수간모옥(數間茅屋)*을 은 줄 웃지 마라
어즈버 만산 나월(滿山蘿月)*이 다 거신가 노라
<8수>
(다)
한식(寒食) 비 온 밤에 봄빗치 다 퍼졋다
무정(無情) 화류(花柳)도 를 아라 픠엿거든
엇더타 우리의 님은 가고 아니 오고
<17수>
(라)
어밤 비 온 후(後)에 석류(石榴)곳지 다 픠엿다
부용 당반(芙蓉塘畔)*에 수정렴(水晶簾)을 거더 두고
눌 향한 깁흔 시름을 못내 푸러 노라
<18수>
(마)
창(窓)밧긔 워셕버셕 님이신가 이러 보니
혜란 혜경(蕙蘭蹊徑)*에 낙엽(落葉)은 무스 일고
어즈버 유한 간장(肝腸)이 다 끈칠 노라
<19수>
- 신흠, 방옹시여(放翁詩餘)
* 수간모옥: 방이 몇 칸 되지 않는 작은 초가.
* 만산 나월: 산에 가득 자란 덩굴 풀에 비친 달.
* 부용 당반: 연꽃이 피어 있는 연못가.
* 혜란 혜경: 난초가 자라난 지름길.
01
윗글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(가)에서는 대상과의 문답을 통해 시상을 심화하고 있다.
② (나)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대비하여 화자의 삶의 태도를 암시하고 있다.
③ (다)에서는 선경후정의 전개 방식을 통해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.
④ (라)에서는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심리적 변화를 우회적으로 표출하고 있다.
⑤ (마)에서는 대상을 의인화하여 대상이 지닌 속성들을 점층적으로 나열하고 있다.
02
<보기>의 ⓐ, ⓑ를 고려하여 (가)~(라)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「방옹시여」는 선조(宣祖) 사후에 정계에서 밀려난 신흠이 은거 상황을 배경으로 창작한 시조 작품을 모아 놓은 것이다. 여기에 수록된 30수는 몇 개의 작품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. 예컨대 ⓐ은자로서의 자족감이나 자긍심을 표현한 작품군, ⓑ‘님’으로 표상되는 선왕에 대한 그리움과 연모의 정을 표현한 작품군 등이 있다.
① (가)의 ‘눈’은 ⓐ와 연관된 시어로, 화자의 은거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려 주는 단서이다.
② (나)의 ‘수간모옥’은 ⓐ와 연관된 시어로, 화자의 답답한 심정이 투영되어 있는 대상이다.
③ (나)의 ‘만산 나월’은 ⓑ와 연관된 시어로, ‘님’이 부재한 상황을 절감하게 하는 소재이다.
④ (다)의 ‘봄빗’은 ⓑ와 연관된 시어로, ‘님’에 대한 화자의 그리움을 촉발하는 계기이다.
⑤ (라)의 ‘부용 당반’은 ⓑ와 연관된 시어로, 화자가 연모하는 대상과 함께 지내는 공간이다.
03
(마)와 <보기>를 비교하여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 [3점]
벽사창(碧紗窓)이 어어커 님만 너겨 풀 니러나 나셔 보니
님은 아니오 명월(明月)이 만정(滿庭) 벽오동(碧梧桐) 져즌 닙 봉황(鳳凰)이 려안자 긴 부리를 휘여다가 두 래예 너허 두고 슬금슬젹 깃 다듬 그림자ㅣ로다
모쳐로 밤일만졍 행여 낫이런들 우일 번여라
- 작자 미상
① (마)의 초장과 <보기>의 초장에서는 모두 감각적 자극이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군.
② (마)의 초장과 <보기>의 초장에서는 모두 창밖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화자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군.
③ (마)의 중장과 <보기>의 중장에서는 모두 화자의 착각을 불러일으킨 대상이 확인되고 있군.
④ (마)의 중장에서는 착각을 야기한 대상에 대한 묘사가, <보기>의 중장에서는 착각을 야기한 대상에 대한 비판이 제시되고 있군.
⑤ (마)의 종장에서는 화자의 내면적 고통을 토로하고 있고, <보기>의 종장에서는 타인의 평가와 조소를 의식하고 있군.
작품 분석과 문제 해설